단국대학교가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맞아 미래 융합인재 양성에 앞장서고 있다. 2014년부터 죽전캠퍼스는 IT·CT 분야를 특성화해 첨단 분야 학문을 집중 육성하고 있으며 천안캠퍼스는 메디바이오, 외국어 특성화를 통해 미래 첨단 분야 학문을 집중 육성하고 있다. 국내 대학 최초로 디지털 AI캠퍼스를 구축했으며 소프트웨어·AI 교육을 통해 디지털 문해력을 갖춘 인재 양성에 역점을 두고 있다.
■ 융합인재 양성 사업 전국 최다 선정
단국대는 정부가 미래 융합인재 양성을 위해 지원하는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3개 분야(바이오헬스, 차세대 디스플레이, 반도체 소부장)와 ‘인문사회 융합인재 양성사업’ 2개 분야(글로벌·문화, 사회구조) 등 총 5개 사업에 선정됐다. 전국 대학 가운데 가장 많은 융복합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2021년 선정된 바이오헬스 분야 혁신융합대학 사업단은 1·2차년도 평가에서 사업참여 56개 대학 중 1위에 올랐다. 79개 바이오 융합 강좌 신설과 집중이수제 도입으로 1만 5000여 명의 학생이 강좌를 이수하는 성과를 내고 있다. ‘단국차세대반도체사업단’을 설립해 반도체 인프라도 강화했다. 673.6㎡ 규모의 클린룸을 새로 구축해 국내 대학 가운데 가장 큰 규모의 클린룸을 갖췄고, 총 35대의 첨단 공정장비 및 측정 장비를 설치하여 한 번에 20명 규모의 제작실습 교육이 가능하다.
첨단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해 학문 단위를 개편하고 융복합 전공 운영도 확대하고 있다. 죽전캠퍼스 전자전기공학부는 전자전기공학과와 융합반도체공학과로 분리해 전문성을 높였으며, 천안캠퍼스에는 혁신융합슬롯 무료체험을 신설해 바이오헬스융합학부와 첨단인재융합학부를 개설했다.
■ SW중심대학 선정, 전교생 SW·AI교육 실시
단국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지원하는 ‘SW중심대학’에 선정됐다. 사업비는 6년간 총 110억원. 사업 선정에 따라 단국대는 ‘단단(檀檀)한 SW·AI 교육혁신’을 목표로 산업체 수요를 기반으로 한 SW·AI융합 연구 및 교육과정을 신설한다.
SW·AI 비전공자를 위해 맞춤형 학위과정인 ‘재능 사다리 4단계’를 신설했으며, 자동차 포렌식, 반도체SW, 헬스케어 로봇 분야 리빙랩을 구축해 실무인재 교육 시스템을 구현했다. SW·AI분야 선도기업과 함께 산업체 현장실무 교육시스템인 ‘IDC SW아카데미’를 운영하고 ‘SW·AI·코딩·클라우드·사이버보안 활용 창의실습존’을 구축해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도 제고해 나갈 예정이다.
전교생에게 창의적 사고 배양을 위해 AI·코딩·SW 교과목인 ‘창의적 사고와 코딩’, ‘대학기초SW·AI입문’을 필수로 수강하도록 해 4차 산업혁명 마인드를 키우고 있다. 8년 동안 1만 6000여 강좌가 개설돼 현재까지 5만 7000여 명이 교과목을 이수했다. 17개 단과대학에는 AI전담 교수를 배치해 단과대학별 특화된 SW·AI교육 환경을 조성했다.
■ 글로벌 교육 경쟁력 강화 프리무스 국제슬롯 무료체험 신설
단국대는 글로벌 교육 경쟁력 강화를 위해 ‘프리무스(PRIMUS) 국제대학’을 설립했다. 프리무스(PRIMUS)는 라틴어로 ‘최고’ ‘선두’의 의미로 국내외 우수 학생들을 적극적으로 유치해 국제수준에 맞는 높은 커리큘럼을 제공한다. 특히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영어 트랙과 한국어 트랙을 개설해 대학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프리무스 국제슬롯 무료체험에는 전 과목을 영어로 강의하는 ▲국제경영학과 ▲모바일시스템공학과 ▲바이오소재융합공학과 ▲한국학과를 개설하고, K-컬쳐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여 ▲연기영상예술학과를 한국어 트랙으로 개설했다.
또한 유학생 수학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글로벌기초교육학부를 개설했다. 한국어트랙 전공에 입학하는 유학생들은 1년간 학부에서 한국어 교육과정(K-LEAP)을 집중교육 받은 후 희망 전공으로 진학하게 된다.
■ 교외 연구비 수주액 1000억 돌파… 기술이전 수입료 전국 대학 12위
단국대는 지난해 교외 연구비 수주액이 1000억원을 돌파했다. 이어 산학협력 실적을 나타내는 또 다른 지표인 기술이전료가 27억 8000만원(슬롯 무료체험정보공시, 2022년 기준)을 기록하며 전국 슬롯 무료체험 12위에 이름을 올렸다. 최근 3년간 기술이전 수입은 67억원 이며 특히 1억원 이상의 중대형 기술이전 사업을 10건 이상 추진해 질적 성장을 이뤄내기도 했다.
단국대는 연구 및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해 전문연구회 정책연구 과제 지원, 디스타랩 육성, LAB i-PLUG, 찾아가는 닥터단, 단비포럼, 변리사 및 기술거래사 등 전문인력화를 통해 산학생태계 구축을 견인하고 있다.
또한 연구성과가 연구실에 머물지 않고 기업에 흘러갈 수 있도록 ‘단국형 7대 국가전략기술분야’(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수소에너지, 첨단바이오, 차세대통신, 사이버보안,인공지능)를 중심으로 지원하고 있다.
산학협력단은 기술이전 사업화 플랫폼 디스타랩(D*-Lab)을 구축해 우수 연구성과가 기술이전 및 사업화로 이어지도록 지식재산 고도화, 비즈니스 모델설계, 시작품 제작, 융복합 기술사업화 등을 지원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최근 국내 대학 최초 ‘5G 표준기술’ 표준특허풀(AVANCI) 등재, 교원 창업 자회사 ㈜알지노믹스 美 FDA 패스트트랙지정, DKU 스타트업 ㈜씨피식스 CES2024 혁신상 및 에디슨 어워드 동상 수상 등 다양한 성과를 창출했다.
안순철 총장은 “미래 사회를 주도할 융합학문 육성과 캠퍼스 특성화를 통해 글로벌 교육 및 연구경쟁력을 강화하고 산학협력을 활성화해 지역과 국가 발전을 견인하는 대학의 미래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슬롯 무료체험 이렇게 뽑는다]
수능위주 1582명, 실기/실적 234명 선발
[2025학년도 주요 변경사항] 단국슬롯 무료체험교는 2025학년도 입시에서 수시모집 3219명(64%), 정시모집 1816 명(36%) 총 5035명을 선발한다. 정시모집에서는 수능위주(일반학생)전 형 1582명, 실기/실적위주(일반학생)전형 234명을 선발한다.
단국대의 2025학년도 정시모집에는 몇 가지 변경사항이 있다. 주요 변경 사항은 ▲광역모집단위 신설 ▲의과대학 모집인원 증원 ▲의·약학계열을 제외한 수능 자연계열 수학 및 탐구영역 선택과목 지정 폐지 ▲해병대군 사학과 수능 최저학력기준 완화 등이다. 2025학년도에는 전년 대비 수시 모집인원이 99명 증가된 만큼 정시 모집인원이 소폭 축소되었다.
[죽전캠퍼스] 죽전캠퍼스는 수능위주(일반) 가군(119명), 나군(165명), 다군(504명) 등 총 788명을 선발하며, 실기/실적위주(일반)은 가군(28명), 다군(63명) 등 91명을 선발한다. 수능위주(일반)은 수능 100%로 선발하며 체육교육과 는 수능(70%)과 실기(30%)를 각각 반영한다. 실기/실적위주(일반)은 모 집단위에 따라 각각 수능과 실기를 일정 비율로 반영한다. 교육기회배려 자, 농어촌학생, 특수교육대상자는 수능(100%)를 반영하며 특성화고졸 재직자는 학생부교과(100%)를 반영한다.
수능은 백분위를 활용하며 탐구영역은 2과목 평균을 반영한다. 영어는 등 급별 자체 백분위 환산점수를 적용한다. 한국사는 반드시 응시해야 하며 등급별 가산점을 총점에 합산한다. 자연계열 수학 및 탐구영역 선택과목 지정이 폐지되었으나 자연계열과 체육교육과는 수학(미적분/기하)과 과 학탐구를 선택할 경우 5%의 가산점을 부여한다. 광역 모집단위 퇴계혁신 칼리지가 신설되었으며 ‘다군’에서 선발한다. 성악전공은 ‘나군’에서 ‘가군’ 으로 변경되었다.
[천안캠퍼스] 천안캠퍼스는 수능위주(일반) 가군(208명), 나군(235명), 다군(351명) 등 총 794명을 선발하며, 실기/실적위주(일반) 가군(15명), 나군(35명), 다군(93명) 등 총 143명을 선발한다. 수능위주(일반)는 수능 100%로 선발하며 실기/실 적위주(일반)은 모집단위에 따라 각각 수능과 실 기를 일정 비율로 반영한다. 교육기회배려자, 농 어촌학생은 수능(100%)를 반영하며 특성화고졸 재직자는 학생부교과(100%)를 반영한다.
수능은 백분위를 활용하나 의·약학계열(의예과, 치의예과, 약학과)은 국어, 수학(미적분/기하) 영 역에서는 표준점수를 활용한다. 탐구영역은 1과 목을 반영하나, 의·약학 계열의 경우 과학탐구 2 과목 평균 백분위를 활용하되 동점자 처리 시에는 표준점수를 활용한다. 영 어는 등급별 자체 백분위 환산점수를 적용하며 한국사는 등급별 가산점을 총점에 합산한다. 자연계열은 수학(미적분/기하) 선택 시 가산점 5%를 부여 하며, 간호·심리치료학과 수학(미적분/기하) 가산점은 폐지되었다. 의·약학 계열(의예과·치의예과·약학과)은 과탐Ⅱ 선택 시 가산점 5%를 부여한다.
의·약학계열(의예과·치의예과·약학과)은 올해부터 수능 국어(25%), 수학 (35%) 영역별 반영비율이 변경되었다. 광역 모집단위 율곡혁신칼리지가 신설되었으며 ‘다군’에서 선발한다. 식품자원경제학과는 ‘나군’에서 ‘다군’ 으로 변경되었다.
[입시정보 Tip] 단국대는 전국 교육청 및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박람회 등을 통해 학생들 과 1:1 상담을 진행하고 있으며, 직접 고등학교로 찾아가는 ‘DKU 입시설명 회’를 통해 전형에 대한 전반적인 안내부터 입시결과까지 학생, 학부모 및 교사를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다. 그리고 대학 입학안내 홈페이지에 수능 점수를 입력해 합격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One-Click 온라인 입학상 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학생의 관심전형, 관심계열 등 상담정보를 입력하면 전년도 최종등록자의 수능 성적 평균과 학생의 수능 성적을 비 교할 수 있어 합격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SNS를 활용하여 입시정보 뿐만 아니라 다양 한 학교 생활 등을 공유하고 있으므로 활용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