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청년 연구자 2명이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Post-Doc. 성장형 연구지원’ 사업에 선정됐다. 이들은 각각 최대 3년 동안 연 7천만 원의 연구비를 받는다.
이번 사업에 선정된 슬롯 커뮤니티원은 정학순 박사(전기전자공학과)와 김소연 박사(생명과학과)다. 이들은 최대 3년간 매년 7천만 원의 슬롯 커뮤니티비를 지원받으며 독립 슬롯 커뮤니티자로의 성장을 위한 도전적인 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Post-Doc. 성장형 연구지원’은 유망한 박사후연구원에게 전임교원 멘토링 기반의 연구기회를 제공하고, 장기적으로 학문후속세대를 육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박사학위 취득 후 7년 이내 또는 만 39세 이하 연구원이 지원할 수 있으며, 올해 새롭게 도입된 ‘단독유형’에는 전국에서 총 54명이 선정됐다.
정학순 박사는 전기전자공학과 화학공학을 융합해 고방열 반도체 패키징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그는 AI와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기존 공정으로는 구현하기 어려운 3차원 메타구조를 제작하고, 유체 냉각 기술을 접목해 열팽창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고전력 반도체의 안정성과 효율을 높이고자 한다. 정 박사는 “고전력 반도체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어 차세대 전력 소자에 적합한 패키징 기술 개발이 중요해지고 있다”며 “산학연 협력 기반의 첨단 반도체 패키징 생태계를 구축하고 싶다”고 말했다.
김소연 박사는 생명과학 분야에서 미토콘드리아 샤페론(TRAP1) 단백질이 망막질환에서 혈관 형성과 면역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치료 전략을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김 박사는 “망막질환은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현재 치료 방법이 부족하다”며 “난치성 질환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장기적으로 치료 전략 개발에 기여하고 싶다”고 전했다.
이번 선정으로 UNIST는 반도체와 생명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청년 슬롯 커뮤니티자의 독립 슬롯 커뮤니티역량 강화와 학문 생태계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