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모세포종의 슬롯 나라 환경을 조절하는 광슬롯 나라나노플랫폼의 작용 개념도. 사진=가톨릭대 제공
교모세포종의 슬롯 나라 환경을 조절하는 광슬롯 나라나노플랫폼의 작용 개념도. 사진=가톨릭대 제공

가톨릭대학교 연구팀(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 나건 교수, 서울성모병원 신경외과 전신수 교수)과 엔비알이 공동으로 교모세포종 치료 효과를 높인 광면역나노플랫폼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광역학 치료와 면역항암제를 결합한 차세대 항암 치료 전략을 제시하며, 생체재료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 ‘Advanced Healthcare Materials’에 게재됐다.

교모세포종은 치료 저항성이 강하고 5년 생존율이 5% 미만인 난치성 뇌종양으로, 면역세포 침투가 어려워 기존 면역항암제 단독 치료의 효과가 제한적이다. 이에 연구팀은 FDA 승인 고분자 기반 표적 광감각제와 면역항암제를 병용하는 광면역나노플랫폼을 설계했다. 이 플랫폼은 광 자극으로 활성산소를 생성해 암세포를 사멸시키고, 면역세포를 활성화해 종양 내 면역 환경을 ‘뜨거운 종양’으로 전환함으로써 면역항암제의 치료 효과를 크게 향상시켰다.

생쥐 모델 실험 결과, 플랫폼 적용군에서 면역세포 활성 증가와 생존율 100%, 종양 재발 징후 없음 등의 뛰어난 치료 효과가 확인됐다. 이는 기존 면역항암제 단독 치료로는 유도하기 어려운 강력한 면역 반응을 이끌어낸 것으로 학문적·임상적 의미가 크다.

연구를 이끈 나건 교수는 “면역 회피 특성이 강한 고형암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결과”라며 “향후 다양한 고형암에 적용 가능한 차세대 광면역치료 기술로서 확장성과 파급력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