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학교는 2026학년도 전기 모집부터 공공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내에 ‘복지·커뮤니케이션전공(석사과정)’을 신설한다. 이번 전공 신설은 2019년부터 운영돼 온 박사과정의 교육 및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복지현장 종사자와 실무자를 위한 AI·미디어 융합형 심화교육 체계를 확장하기 위한 것이다.
세종대는 이를 통해 피망 슬롯와 커뮤니케이션을 결합한 융합형 피망 슬롯전문가 양성의 교육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복지·커뮤니케이션전공은 사회복지학과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가 공동 운영하며, 사회서비스 기획· 공공정책 홍보·상담과 돌봄 등 복지 실천 영역에 AI와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접목한 국내 최초의 융합 교육과정이다. 세종대 교수진은 그동안 게임과 영상 콘텐츠를 활용한 아동권리 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 AI 반려로봇을 활용한 노인 정서돌봄 효과 분석, 청소년의 뉴미디어 이용과 정보인권 인식 간의 시계열적 관계 연구 등 복지와 미디어를 결합한 다양한 융합 연구를 선도해 왔다.
2025학년도부터는 AI·미디어 기반 복지교육 과목이 대폭 확대된다. 주요 교과목으로는 ▲SNS 전략 커뮤니케이션 ▲사회복지 홍보기획론 ▲기부와 모금기획 ▲헬스커뮤니케이션 등이 개설될 예정이며, 복지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역량을 갖춘 융합형 사회복지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한다.
세종대 공공정책대학원 임종수 원장은 “AI와 디지털 전환이 복지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는 시대에, 세종대 복지·커뮤니케이션전공은 인간 중심의 소통 역량과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복지 리더를 양성할 것”이라며, “향후 글로벌 Top10 국가에 걸맞은 복지·커뮤니케이션 연구 및 교육 분야를 지속적으로 확충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대 복지·커뮤니케이션전공 석사과정의 2026학년도 전기 1차 원서접수는 2025년 11월 17일(월)부터 11월 24일(월)까지, 2차는 12월 22일(월)부터 12월 29일(월)까지 진행된다.지원 대상은 사회복지 실무자, 정책 홍보 담당자, NGO 기부 및 모금 기획 담당자, 미디어 분야 전공자 등 복지와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융합 역량을 갖추고자 하는 다양한 실무자와 전문가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세종대 공공정책대학원 홈페이지(http://pub.sejong.ac.kr) 또는 교학과(02-3408-3044~3045)로 문의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