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대 'Academic Exchange Fellowship' 첫 참여자인 인도네시아 교수들의 수료증 수여식 모습. 사진=한동대 제공
한동대 'Academic Exchange Fellowship' 첫 참여자인 인도네시아 교수들의 수료증 수여식 모습. 사진=한동대 제공

한동대학교는 올해 처음으로 ‘Academic Exchange Fellowship’ 프로그램을 시행하며, 글로컬대학 사업을 통해 국내외 교수들의 역량 강화와 전인교육 확산에 나서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아시아 및 중남미 지역 다수의 해외 교수들이 참여하는 국제 교육협력 사업으로, 한동대의 독자적인 ‘Holistic Intelligence(HI) 교육모델’을 해외에 전파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운영은 HI교육혁신원이 맡아, 한동대의 교육철학과 HI교육모델을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맞춤형 교수역량개발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7월 2일부터 11일까지는 인도네시아 Jakarta International University 소속 교수 2명이 한동대를 방문해 전인교육 시스템과 HI교육모델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이어 7월 18일에는 필리핀 University of the Assumption 교수 5명과 파라과이 아순시온 국립무료 슬롯 게임교 교수 17명을 대상으로 HI교육모델 소개 세션이 예정되어 있다.

커리큘럼은 공통교육과정과 개별 맞춤형 교육과정으로 구성된다. 공통과정에서는 ▲한동대 팀제 및 RC제도를 기반으로 한 전인교육 소개 ▲기독교 세계관 토의 ▲HI 교육모델 개요 및 적용 사례 ▲수업 디자인 ▲비교 분석 및 보고서 작성 등을 다룬다. 개별과정은 참여 교수의 전공과 요청에 따라 맞춤 구성되며, 해당 분야 한동대 교수들과 1:1 미팅을 통해 실질적인 교수법 교류와 자국 무료 슬롯 게임 내 적용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번에 참여한 Andreas James Darmawan 교수와 Vincentia Aprilla Putri 교수는 “단순한 참관을 넘어 실제적인 커리큘럼과 수업 운영 방식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얻었다”고 평가하며, 특히 “단순한 활동 나열이 아닌 구조화된 수업 프레임워크(Encounter-Engage-Reflect)와 사전 과제, 피어 러닝, 피드백 도구들이 효과적인 교수법 설계의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했다”고 밝혔다.

조준모 HI교육혁신원 원장은 “Academic Exchange Fellowship 프로그램은 참여 교수님의 필요에 기반한 맞춤형 설계와 한동대 교수님들의 자발적인 헌신이 어우러진 프로그램”이라며 “국내외 전인교육 실천의 출발점이 되기를 바라며 향후 다양한 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더욱 확장하겠다”고 말했다.

HI교육혁신원은 한동대의 ‘Holistic Intelligence 기반 미래교육’을 실현하는 핵심 기관으로, AI 기반 맞춤형 학습, HTHT(High-Touch High-Tech) 교육모델 개발, 교수역량 강화 등을 통해 지역사회와 국제사회에 기여하는 미래교육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한동대는 앞으로도 Academic Exchange Fellowship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운영하며 교육혁신 선도대학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학문적 교류와 전인적 인재 양성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