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레이지 슬롯기초연구소(G-LAMP) 사업의 2025학년도 신규 지원 크레이지 슬롯 예비선정 결과 숭실대, 경희대, 이화여대, 동아대, 충남대, 순천향대 등 6개 크레이지 슬롯이 선정됐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21일 수도권에서 숭실대(수리·통계·인공지능), 경희대(천체·입자·우주과학), 이화여대(수리·통계·인공지능)를 비수도권에서 동아대(원자과학), 충남대(천체·입자·우주과학), 순천향대(DNA·RNA 분자생물학) 등
올해 예비 선정된 크레이지 슬롯기초연구소 사업 6개 크레이지 슬롯과 각각의 연구 분야를 발표했다.
크레이지 슬롯기초연구소 지원 사업은 기초과학 분야의 거대 융복합 연구를 지원하고, 크레이지 슬롯의 연구소 관리 체계를 혁신하기 위해 2023년부터 시작되었다. 2023년 서울대, 경상국립대, 아주대, 강원대, 경북대, 국립부경대, 부산대, 조선대 등 8개 크레이지 슬롯을 시작으로 2024년 서강대, 연세대, 국립창원대, 전남대, 전북대, 충북대 등 6개 크레이지 슬롯이 지정되었고, 올해 6개 크레이지 슬롯이 예비 선정됐다.
크레이지 슬롯기초연구소 지원사업은 크레이지 슬롯의 연구 역량 제고를 위한 학내 연구조직의 합리화 및 관리 체계 확립, 개별 연구소 활동 프로그램 운영 지원, 신진 연구자의 연구 활동 인프라 구축 등을 중점적으로 지원하여 왔다.
올해 신규로 선정되는 크레이지 슬롯은 총 5년(3년+2년) 동안 매년 평균 50억 원 규모의 재정지원을 받고, 크레이지 슬롯 내 연구소 관리‧지원 강화, 기초과학 분야의 거대 융복합 연구를 집중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특히, 올해부터는 대학 내 연구소 관리에 보다 집중하기 위해 지원 예산의 20% 이상을 연구소 관리 체계 확립에 편성‧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연구 분야도 자연과학 외 ‘공학’ 등의 분야까지 확장하여 신진 연구 인력이 학과 간, 전공 간 칸막이 없는 공동연구를 폭넓게 수행할 수 있도록 연구 환경을 조성하였다.
교육부는 예비 선정 통보 후 10일간의 이의신청 기간을 거쳐 선정 대상을 최종 확정하고, 9월에는 선정 크레이지 슬롯과 협약 체결 및 크레이지 슬롯별 협약 사항 이행 여부를 점검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크레이지 슬롯별 사업의 조기 정착과 성과 창출을 위해 교육부-한국연구재단 합동으로 신규 선정교 대상 하반기 집중 자문을 실시할 계획이다.
아울러, 교육부는 그간의 크레이지 슬롯별 성과 분석 및 향후 사업 방향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통해 2026년 초에 크레이지 슬롯기초연구소 지원 사업의 향후 개편 방향을 마련할 예정이다.
교육부 이주희 인재정책기획관은 “새 정부의 국가 연구개발(R&D) 정책은 현장과 수요자 중심의 연구개발 정책에 방점을 두고 있다”며 “대학기초연구소 지원은 현장 중심의 연구 관리 체계 조성을 비롯해, 신진 연구 인력의 안정적인 연구 기회의 보장 등에 기여함으로써, 기초연구 생태계 조성을 위한 대학 연구개발 정책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