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성과 공유회…"멘토링·맞춤형 교육 필요"
슬롯자율선택제는 필요한 제도지만, 학생들과의 소통을 더 늘려야 한다는 학생 제언이 나왔다.
교육부는 21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슬롯자율선택제 성과 공유회'를 열었다.
전공자율선택제는 학생들이 대학 입학 후에 흥미와 적성에 맞는 전공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제도로, 학생의 전공 선택권을 보장하고 대학 혁신을 유도하고자, 교육부가 재정 지원과 연계해 추진 중이다.
그러나 이른바 '인기 학과' 쏠림현상이 심화되고, 비인기 학문은 고사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이번 성과 공유회는 각 대학의 2025학년도 전공자율선택제 확대에 대비, 잘 준비하고 있거나 시행 중인 대학의 우수사례 등을 공유하고, 발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교육부 2030자문단 대학정책분과 김상천 씨는 '학생의 시선에서 바라본 전공자율선택제' 발표를 통해 "설문조사, 간담회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여론을 들어보면, 다수가 제도의 필요성을 공감하는 것으로 확인된다"면서도 "도입 추진 과정에서 크고 작은 갈등이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빠른 추진' 등을 이유로 학생과 충분한 협의를 하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며 "공간·정원 조정 등과 관련, 사전에 더 적극적으로 학생들과 협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인기학과 강의 추가 개설, 소수학과 강의 개설 기준 완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도 제언했다.
하연섭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부총장은 '대학슬롯자율선택 확대 및 교육의 질 제고방안 연구'에서, 제도 정착을 위한 체크리스트를 제시했다.
하 부총장은 전공 탐색 과정에서 전문성 있는 학사 지도 및 입학 전후 지원 체계 구축, 충분한 지원과 기회 제공, 학생 지원 전담 조직과 전공 학사 단위와의 긴밀한 협력 등이 필요하다고 봤다.
아울러 입학 후에는 멘토링 프로그램과 밀착 지도로 소속감을 높이고, 교육자원의 재구조화, 학생 학습권의 실질적 보장, 기초 학력 진단, 학생 수준에 따른 맞춤형 교육 등으로 교육의 질을 확보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외에도 포럼에서는 세종대학교, 충북대학교, 대전대학교, 광운대학교, 서울대학교 등이 슬롯자율선택제 운영 사례를 공유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전공자율선택제는 학생들이 다양한 학문을 기반으로 한 융합적 사고력과 창의성, 자기 주도성을 포함한 미래 역량을 기르기 위한 대학 교육혁신의 시작"이라며 "전공자율선택제가 현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대학들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