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 자율선택제'로 돌파구…"2학년 이후 실제 전공 선택"
학령인구 감소로 교사들의 수요가 계속 줄고 있는 가운데, 일부 사범대학들이 전공 자율선택제를 도입하고, '비교원 양성 과정'을 운영하기로 했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2024년 '교원양성 과정 개선 대학 지원 사업' 평가 결과 교대·사범대 연합체(컨소시엄) 유형으로 4곳, 중등 교원양성기관 단독형에 16곳을 선정했다고 13일 밝혔다.
연합체에는 경인교육대학교(서울교육대학교, 춘천교육대학교 참여), 대구교육대학교(부산교육대학교, 진주교육대학교 참여), 청주교육대학교(공주교육대학교, 광주교육대학교, 전주교육대학교 참여), 한국교원대학교(제주대학교 참여)가 선정됐다.
단독형으로는 가톨릭관동대학교, 경희대학교, 계명대학교, 국립공주대학교, 대구대학교, 동국대학교, 목원대학교, 서원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순천향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인하대학교, 전주대학교, 조선대학교, 중앙대학교 및 한양대학교 사범대학이 각각 선택됐다.
이 사업은 고교학점제,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도입 등에 대응, 수업 혁신을 이끌 교사를 양성할 수 있도록 교대, 사범대, 교육대학원 등 교원양성대학의 교육과정 혁신을 정부가 지원하고자, 올해 처음 도입됐다.
교대·사범대 연합체에는 1곳당 4억원, 중등 교원양성기관 단독형에는 1억 7500만원 등 총 49억원을 지원한다.
대학들이 제시한 혁신 모델을 보면, 학령인구 감소와 이에 따른 교사 신규채용 규모 감축에 대한 고민이 드러난다.
가톨릭관동대, 목원대, 이화여대, 전주대 등은 사범대에 '전공 자율 선택제'를 도입하거나, 확대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놓았다.
사범대 모집정원 일부를 자유전공학부(전공 자율 선택제) 정원으로 포함하고, 에듀테크 관련 과 등을 신설해 사범대 내에서도 비교원 양성 과정을 운영하겠다는 것이다.
사범대 신입생들은 1학년 때 사범대 소속으로 전공을 탐색한 뒤, 2학년 이후부터 실제 전공을 택할 수 있게 된다.
학령 인구 감소로 예비 교원 양성 규모를 줄일 수밖에 없다는, 사범대의 고민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2025학년도 공립 중·고등학교 교사 선발 사전예고 인원은 4814명으로, 올해(3907명)보다 23.2% 늘어나지만, 재수·N수생이 누적돼 있어 합격률 상승으로 이어지긴 어렵다.
중·고등학교 교사 임용시험 지원자 대비 합격자 비율은 지난해 13.1%로, 전년(14.6%)보다 1.5%포인트 하락, 지원자 8명 중 1명꼴에 불과하다.
이와 관련, 교육부 관계자는 "사범대의 전공 자율 선택제는 이제 시작하는 단계여서, (모집정원 대비) 100%를 적용한 대학은 없다"며 "전공 자율 선택제 도입 비중은 대학마다 다르다"고 설명했다.
교대들은 권역별로 연합체를 구성, 권역별 교육청과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국제 바칼로레아(IB), 늘봄학교 등 지역사회 수요를 반영해 교원양성과정을 개선할 방침이다.
교육부는 23일까지 평가 결과에 대한 이의 신청을 접수, 이달 말 선정 결과를 확정할 예정이며, 최종 선정된 대학은 8월 초 출범식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교육과정 개편에 나설 계획이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수업 혁신을 이어 나가기 위해서는, 교원양성 기관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각 사업단에서 제시한 다양한 교육과정 혁신 모델을 현장에서 실현하고, 확산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