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시 4367명 증가·정시는 122명 감소...'학폭' 조치 전형 의무 반영

수험생들이 대입 수시 박람회에서 상담하고 있는 모습. 사진=대학IN
수험생들이 대입 수시 박람회에서 상담하고 있는 모습. 사진=대학IN

현재 고등학교 2학년이 치를 2026학년도 대학 입시에서, 수시모집 비중이 79.9%로 전년보다 소폭 늘었다. 

모집 인원은 의대 정원이 늘고, 비수도권 만학도 전형 등도 확대, 총 4000여명 증가한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는 전국 195개 4년제 대학이 제출한 '2026학년도 대학 입학전형 시행계획'을 모아, 2일 이렇게 발표했다.

전체 모집 인원은 전년보다 4245명 늘어난 34만5179명이다. 

정부 발표대로 의대 2000명 증원이 반영될 것을 가정한다면, 의대를 포함한 보건의료계열, 그 밖에 비수도권 만학도 전형 등에서 총 4245명이 늘어날 전망이다. 

수도권 대학은 1652명 늘어난 13만 3778명, 비수도권 대학은 2593명 증가한 21만 1401명을 선발한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집 비율은 38.8%, 61.2%로 전년과 같다. 

모집인원 중 수시모집 비중은 79.9%(27만 5848명), 정시는 20.1%(6만 9331명)으로, 수시 비중은 전년(79.6%)보다 0.3%p 늘었고 정시 비중은 전년(20.4%) 대비 0.3%p 줄었다. 

수시 인원은 1년 전보다 4367명 증가한 반면, 정시 선발 인원은 122명 감소했다. 

수시 선발 비율은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데 수시 선발 비율은 2022학년도 75.7%, 2023학년도 78.0%, 2024학년도 79.0%, 2025학년도 79.3%였다.

학교생활기록부 위주로 선발하는 수시, 대학수학능력시험 위주로 선발하는 정시 무료 슬롯의 기조는 전년과 비슷하다.

수시의 85.9%(전년 86.0%)를 학생부 위주로, 정시의 92.2%(전년 91.9%)를 수능 위주로 뽑는다.

수도권 소재 대학의 논술 위주 전형이 1160명 늘었고, 비수도권 소재 대학 수시모집에서 학생부 위주 전형이 총 2594명(학생부교과 948명, 학생부종합 1646명) 증가다. 

사회통합전형 모집 정원은 총 5만 1286명으로, 전년 대비 595명 확대됐는데, 기회균형선발 모집 인원이 총 3만 8200명으로 전년 대비 776명 늘었다.

반면 수도권대학의 지역균형선발은 1만 386명으로 181명 줄었다. 

특히 2023년 발표된 학교폭력 근절 종합대책에 따라, 2026학년도부터 모든 대학에서 학교폭력 조치 사항이 대입 전형에 의무적으로 반영한다.

유형별로 반영 방법은 조금씩 다르지만 학생부, 논술, 수능 등 각 전형에 따라 학폭 조치 사안이 반영된다.

2026학년도 대입전형 시행계획 주요 사항은 각 고등학교나 시도 교육청, 대입 정보 포털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대학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