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외국어대학교 모의국제연합(HUFS International Model United Nations, 이하 HIMUN)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서울AI재단(SAIF)과 공동으로 오는 8월 23일 오후 1시, 서울 강남구 섬유센터 Tex+Fa홀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 가속화를 위한 과학기술 활용과 다자협력 방안 모색’을 의제로 제49차 모의유엔총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총회는 일반인에게 무료로 공개되며, 현장 참관이 가능하다.

1958년 창설되어 ‘유엔군축’을 주제로 첫발을 뗀 HIMUN은 국내 최초의 모의국제연합이자 외국어 학술행사로, 67년 전통을 가진 국내 최장수 범대학적 외국어 학술 단체다. ‘국제평화와 인류의 안전을 위한 자유, 평등, 박애’라는 UN의 기본 이념을 계승하며 매년 공개총회를 이어오고 있으며, 각국 대사관, 정부 기관, 기업, 시민단체의 후원을 받아 청년들이 국제사회의 주요 현안을 자유롭게 논의하는 장으로 자리매김했다.

◆ 국내 유일 UN4MUN 의사규칙 채택… UN 공식 6개 언어 및 한국어 동시통역 제공

HIMUN은 UN 슬롯 사이트의 실제 진행 방식인 UN4MUN 의사규칙을 국내에서 유일하게 채택해 운영한다. 이번 제49차 슬롯 사이트에서도 각국 대표의 발언은 UN 공식 6개 언어(영어, 중국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아랍어)와 한국어로 실시간 통역된다. 행사에는 약 300여 명의 관람객이 현장에서 참여할 수 있으며, 모든 참관객에게 통역 시스템이 제공된다.

참가국은 미국, 한국, 중국, 일본, 프랑스, 브라질, 케냐, 시리아, 베트남 등 총 9개국이다. 이번 총회의 협의체는 ▲과학기술을 적극 활용해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 가속화를 주도하며 기술 공유 역량을 갖춘 협의체 A(한국, 프랑스, 미국, 일본, 중국), ▲과학기술 역량이 제한적이며 기술 교류와 역량 강화를 동시에 모색하는 협의체 B(브라질, 케냐, 시리아, 베트남)로 구성된다. 각국 대표들은 기술적·구조적 제약과 SDGs 달성 진척도를 중심으로 협상과 토론을 이어가며 결의안을 도출할 예정이다.

◆ 국제사회가 직면한 복합 위기와 SDGs… 청년들의 해법 제시

HIMUN 사무총장 김아린(튀르키예.아제르바이잔학 23) 학생은 “과학기술은 SDGs 달성을 앞당기는 가장 강력한 추진력이자 인류가 직면한 복합 위기를 돌파할 창조적 해답이지만, 그 힘이 올바르게 발휘되려면 국경을 초월한 연대와 국제사회의 확고한 의지가 필요하다”며, “이번 49차 HIMUN 모의유엔총회가 기후변화, 불평등, 디지털 격차 등 전세계가 맞닥뜨린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현실적 해법과 새로운 비전을 모색하는 장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슬롯 사이트의 의제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과 서울AI재단, 연세대 행정학과 정헌주 교수, 한국외대 정치외교학과 최원근 교수,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양윤정 교수의 자문을 받아 학술적 깊이를 더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