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 현장. 사진=국립군산대 제공
포럼 현장. 사진=국립군산대 제공

국립군산대학교는 8월 27일 고춘곤홀에서 전북특별자치도와 전북특별자치도평생교육장학진흥원과 함께 ‘2025년 전북특별자치도 평생교육 정책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맞춤형 평생학습 체계 구축: 대학-지자체 특성화와 역할 재정립’을 주제로 열렸으며, 지역 특성을 반영한 전략 재설계와 학습자 중심의 평생학습 실행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행사에는 도와 군산시 관계자, 대학, 평생교육 기관 관계자 등 120여 명이 참석했다.

기조 강연을 맡은 중앙대 이희수 교수는 “대학과 지자체의 기능 중복과 경쟁 심화라는 현실 속에서 학습자 중심의 수요 맞춤형 전략과 기관 간 협력 거버넌스를 통한 역할 재정립이 필요하다”며, 교육을 공동선의 가치로 재정의하고 변화에 대응하는 맞춤형 학습생태계 전환을 제안했다.

주제 발표에서는 변종임 국가평생교육진흥원 본부장이 대학을 지역민의 상시 학습 플랫폼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RISE, 평생교육 집중진흥지구 등 혁신 정책을 통해 직업·역량 재교육과 성인 친화형 학사 운영, 지역산업 맞춤형 교육을 실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박상옥 국립공주대 교수는 지역평생학습관과 대학평생교육원의 협력 필요성을 강조하며 공주시-공주대 협력 사례를 소개했다.

군산시 박홍순 교육지원과장은 인구 감소와 학령인구 급감 상황에서 평생교육을 지역 회복 전략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밝히며, “군산시는 평생학습관과 발달장애인 평생학습관 등 인프라를 기반으로 전북시민대학, 러닝업 지원사업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라며 지자체-대학 정기 협의체, 교수진·시설 공유, 학습형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한 지속 가능한 협력 모델을 제안했다.

종합 토론에서는 국립군산대 박규연 평생교육원장의 주재로 지자체-대학-평생교육진흥원의 역할 재정립, 성과관리 체계 강화, 직업·역량 교육 확충 등 제도·운영 개선 방안이 논의됐다. 토론자들은 평생교육이 지역성과 포용성을 기반으로 해야 하며, 장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재원과 인력 확보가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박규연 평생교육원장은 “이번 정책포럼은 지역과 대학이 함께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뜻깊은 자리였다”며 “국립군산대는 지속가능한 평생학습 체계 구축 등 지역 사회 교육 부문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계속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대학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